복숭아명나방(Conogethes punctiferalis)
✓ 피해
• 소나무류 중 잣나무 구과에 특히 피해가 많다.
• 과수에서는 밤나무와 그 외 대부분의 과실에 피해를 주며, 특히 밤에 피해가 심하다.
• 밤을 수확하였을 때, 외관상 벌레구멍이 있는 것은 대부분 이 해충의 피해이다.
• 주로 조생종 밤 품종에서 피해가 심하나 근래에는 만생종에서도 3화기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 형태
• 성충은 날개 편 길이가 25mm 내외로 등갈색을 띤 황색이다.
• 전신에 흩어진 20여개의 검은 점이 선명하고, 아랫입술수염의 가운 데마디 윗가장자리, 때로는 아랫가장자리에도 가늘게 검은색으로 테두리져 있다.
• 알은 장경 0.6mm 내외로 타원형이고, 유백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한다.
• 유충은 몸길이가 20~25mm에 달하며, 머리는 흑갈색이고, 몸 등면은 어두운 붉은색이다.
• 가시털의 기판은 앞가슴에서만 검은 점모양이다.
• 번데기는 몸길이가 14mm 내외로 갈색이며, 고치는 흰색이다.
✓ 생태
• 연 2~3회 발생한다.
• 침엽수형은 충소 속에서 중령유충으로 월동하여 5월부터 활동하며, 1화기 성충은 6~7월, 2화기 성충은 8~9월에 우화한다.
• 유충이 신초에 거미줄로 집을 짓고 잎을 식해하며, 벌레 똥을 붙여놓는다.
• 유충은 몸길이가 20~25mm에 달하며, 머리는 흑갈색이고, 몸 등면은 어두운 붉은색이다.
• 유충이 신초에 거미줄로 집을 짓고 잎을 식해하며, 벌레 똥을 붙여놓는다.
• 1화기 성충은 6월에 나타나 복숭아, 자두, 사과 등 과실에 산란하며, 1마리가 여러 개의 과실을 식해한다.
• 2화기 성충은 7월 중순~8월 상순에 우화하여 주로 밤나무 종실에 1~2개씩 산란한다.
• 알기간은 6~7일 정도이며, 어린 유충인 1, 2령 시기는 밤 가시를 식해하다가 3령 이후부터는 과육을 식해한다.
• 유충 가해기간은 기주식물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나는데, 밤의 경우는 약 13일 정도이며, 모과의 경우는 약 23일 내외이다.
• 10월경에 줄기의 수피 사이에 고치를 짓고, 그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 번데기 기간은 13일 내외이다.
✓ 방제
• 약제방제
- 소나무류 구과에 피해를 주는 1화기가 출현하는 6월에 등록된 약제를 살포한다.(밤나무에서는 페니트로티온 유제, 펜토에이트 유제, 트랄로메트린 유제 프로싱 유제, 클로르푸루아주론 액상수화제, 피레스 유제 등이 등록되어 있음)
• 친환경방제
- 복숭아명나방 성페로몬 트랩을 ha당 5~6개씩 일정 간격으로 통풍이 잘 되는 곳에 1.5m 정도의 높이에 달면 성충의 발생시기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고, 약20~30% 정도의 방제 효과도 볼 수 있다.
- 곤충 병원성 미생물인 Bt균(Bacillus thuringiensis)이나 다각체바이러스를 살포한다.
- 밤 수확 시 피해 구과를 모아 소각하거나 땅에 묻어 다음 해 발생 밀도를 낮춘다.
가문비왕나무좀(Xyleborus balidus)
✓ 피해
• 기주 범위가 광범위하여 각종 침엽수, 활엽수를 가해한다.
• 목질부로 침입하여 갱도 내에 암브로시아균을 배양하기 때문에 수세가 현저하게 쇠약 되어 수목이 고사되는 경우도 있다.
✓ 형태
• 암컷의 몸길이는 4mm 내외이고 장타원형이며 체색은 광택이 있는 검은색 내지 흑갈색이다.
• 입, 촉각, 다리는 적갈색이고 몸 표면에 황색의 털이 드문드문 나 있다.
• 수컷의 몸길이는 약 2.7mm이고 체색은 황갈색이다.
✓ 생태
• 연 1~2회 발생하여, 성충으로 월동한다.
• 목질부에서 월동한 성충이 5~6월에 출현하여 목질부 속으로 뚫고 들어간다.
• 모갱은 수평이며 2~3개의 분기 모갱을 만들고 먹이인암 브로시아균을 배양한다.
• 산란은 모갱 안에서 하며, 부화한 유충은 짧은 유충갱을 만들고 그 속에서 암브로시아균을 먹고 성장하여 번데기가 된다.
• 우화한 성충은 모갱 내에서 월동한 후, 이듬해 탈출공을 만들지 않고 어미의 침입공으로 탈출한다.
✓ 방제
• 약제방제
- 배설물이 분출된 침입공에 살충제를 주입하면 효과적이나 등록된 약제가 없다.
• 친환경방제
- 유충에 기생하는 기생봉류, 맵시벌류, 기생파리류 등을 보호한다.
- 딱따구리류 및 해충을 잡아먹는 각종 조류를 보호한다.
- 죽은 가지나 고사목은 겨울에 제거하여 번식처를 없애준다.
- 쇠약한 나무에 주로 기생하는 해충이므로 건전한 나무로 관리한다.
- 피해목 또는 고사목 내에서 월동중인 성충을 4월 이전에 제거하여 소각한다.
노랑애나무좀(Cryphalus fulvus)
✓ 피해
• 소나무류에 기생하는 나무좀류 가운데 가장 흔한 종으로서 쇠약한 가지나 고사된 가지에 주로 기생하고 때로는 건전한 나무에도 기생한다.
• 고사목이나 벌채 원목의 수피가 얇은 부분의 수피 밑을 가해하며 여름에 고사한 나무의 가지와 줄기 윗부분에서 많이 발견된다.
✓ 형태
• 성충의 몸길이는 약 1.5mm이고 긴 타원형으로 체색은 황갈색이며 앞머리에는 가로로 융기선이 있고 그 위쪽이 약간 파여 있다.
• 앞 가슴 등쪽 앞에 기와 모양의 돌기가 있고 날개에는 점각열이 있으며 그 사이에 인모와 긴털이 줄을 이루고 있다.
• 수피 밑의 식흔은 가로방향이며 모공의 길이는 1cm 내외이며, 유충공은 2cm 정도이다.
✓ 생태
• 연 2~4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 수피 밑에서 월동한 성충은 3월 하순~4월 상순에 나와 암컷이 먼저 수피속을 뚫고 들어가 교미 실을 만들기 시작하면 수컷이 들어와 공동으로 교미실을 만든 후 교미한다.
• 1부1처제와 유사한 사회성 생활을 하는 특징이 있다.
• 성충은 교미 실로부터 좌우로 구멍을 뚫어나가 약 12~20일간 약 25mm의 모갱을 만든다.
• 모갱에서 교미하고 30개 정도의 알을 무더기로 산란하며 알기간은 3일이다.
• 부화한 유충은 모갱과 직각방향으로 유충갱을 뚫어 나가며 유충갱에 벌레똥을 가득 채워 놓는다.
• 노숙유충은 유충갱 앞쪽에 번데기 집을 만들고 번데기가 된다.
• 1세대 소요일수는 세대에 따라 차이가 있어 기온이 낮은 제1세대와 제4세대는 약 40~50일, 기온이 높은 시기의 제 2세대와 3세대는 20~25일이다.
• 우화한 신성충은 약 10일간 번데기집에 머무른다.
• 수피를 뚫고 나와 건전목의 새 가지의 수피 밑에 침입하여 식해한다.
• 월동은 수피 밑에서 성충으로 하나 일부 번데기나 유충으로 월동하기도 하며 모갱 내에서 성충이 집단으로 월동하기도 한다.
✓ 방제
• 약제방제
- 산란기인 3월 중순부터 살충제를 침입공에 주입하면 성충을 죽일 수 있으나 등록된 약제가 없다.
• 친환경방제
- 소나무좀 유충에 기생하는 기생봉류, 맵시벌류, 기생파리류 등을 보호한다. -딱따구리류 및 해충을 잡아먹는 각종 조류를 보호한다
- 죽은 가지나 고사목은 겨울에 제거하여 번식처를 없애준다.
- 쇠약한 나무에 주로 기생하는 해충이므로 건전한 나무로 관리한다.
- 피해목 또는 고사목 내에서 월동중인 성충을 3월 이전에 제거하여 소각한다.
소나무좀(Tomicus piniperda)
✓ 피해
• 수세가 쇠약한 벌목, 고사목에 기생한다.
• 월동 성충이 수피를 뚫고 들어가 산란한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수피 밑을 식해한다.
• 쇠약한 나무나 벌채한 나무에 기생하지만 대발생할 때는 건전한 나무도 가해하여 고사시키기도 한다.
• 신성충은 새가지를 뚫고 들어가 새가지가 구부러지거나 부러져 고사한 채 나무에 붙어 있는데 이를 후식 피해라 한다.
✓ 형태
• 성충의 몸길이는 4~4.5mm이고 긴 타원형이며 체색은 광택이 있는 암갈색 내지 검은색이며 회색의 털이 나 있다.
• 촉각의 선단이 계란형이고 4절이다. 앞가슴은 앞쪽이 좁고 등쪽에는 점각이 있고 중앙에는 매끈하고 광택이 있는 종선이 있다.
• 앞날개에도 작은 점각이 있으며 끝에는 1열의 돌기와 억센 털이 있다. 앞날개의 제2열 사이에는 이것이 없다.
• 유충은 유백색으로 몸길이는 3mm정도의 원통형이다.
• 배쪽은 C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 유충태로 나무좀의 종류를 동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식흔의 모양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
✓ 생태
• 연 1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 봄과여름두번가해한다.
• 지제부의 수피 틈에서 월동한 성충의 3월말∼4월초에 평균기온이 15°C정도 2∼3일 계속되면 월동처에서 나와 쇠약목, 벌채목의 수피에 구멍을 뚫고 침입한다.
• 암컷 성충이 먼저 천공하고 들어가면 수컷이 따라 들어가 교미를 한다.
• 교미를 끝낸 암컷은 밑에서 위로 10cm가량의 갱도를 뚫고 갱도 양측에 약 60개의 알을 낳으며 산란기간은 12~20일이다.
• 부화한 유충은 갱도와 직각 방향으로 내수피를 파먹어 들어가면서 유충 갱도를 형성한다.
• 유충기간은 약20일이고 2회 탈피한다.
• 유충은 5월 하순경에 갱도 끝에 타원형의 번데기집을 만들고 목질 섬유로 둘러 싼 후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되며 번데기기간은 16~20일이다.
• 신 성충은 6월 초부터 수피에 원형의 구멍을 뚫고 나와 가해 수종으로 이동하여 1년생 새가지 속을 위쪽으로 가해하다가 늦가을에 가해수종의 지제부 수피 틈에서 월동한다.
✓ 방제
• 약제방제
- 3월 하순~4월 중순에 살포하거나, 침입공에 주사기로 살충제를 주입하면 효과적이나 등록된 약제는 없다.
- 수출입 목재 훈증용으로 포스핀 훈증제가 등록되어 있다.
• 친환경방제
- 소나무좀 유충에 기생하는 기생봉류, 맵시벌류, 기생파리류를 보호한다.
- 딱따구리류 및 해충을 잡아먹는 각종 조류를 보호한다
- 수세 쇠약목을 주로 가해하기 때문에 수세를 강화시키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다.
- 수세가 쇠약한 나무는 미리 제거하고 원목과 침적은 5월 이전에 수피를 벗겨 번식처를 없앤다.
- 1~2월중에 벌채된 소나무 원목을 1m가량 잘라 2월 말에 임내에 세워 유인산란 시킨 후 5월 중에 껍질을 벗겨 유충을 구제한다.
- 숲 가꾸기 지역 내 벌채목을 제거하여 6월에 신성충의 후식 피해를 막는다.
- 1~2월중에 벌채된 소나무 원목을 1m가량 잘라 2월 말에 임내에 세워 유인산란시킨 후 이것을 수집하여 소각한다.
'수목병해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목병해충 - 왕바구미, 북방수염하늘소, 솔수염하늘소 (0) | 2024.10.21 |
---|---|
수목병해충 - 이깔여덟이발나무좀, 노랑무늬솔바구미/노랑소나무점바구미, 노랑점바구미 (0) | 2024.10.21 |
수목병해충 - 솔박각시, 백송애기잎말이나방, 솔애기잎말이나방, 소나무순나방 (0) | 2024.10.21 |
수목병해충 - 솔알락명나방, 큰솔알락명나방, 애기솔알락명나방 (0) | 2024.10.14 |
수목병해충 - 솔거품벌레, 소나무솜벌레, 소나무왕진딧물, 소나무가루깍지벌레 (2) | 2024.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