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코드 끝 --->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분류 전체보기 21

수목병해충 - 벚나무모시나방, 매실애기잎말이나방 등

벚나무모시나방(Elcysma westwoodi)✓ 피해• 봄철 벚나무에서 잎을 갉아먹는 피해를 쉽게 볼 수 있는 해충이다. • 어린 유충은 잎 뒷면의 잎 살만을 가해하고 중령 때는 잎에 작은 구멍을 만들면서 가해하며 성장하면 모조리 식해 한다. • 벚나무에서 돌발적으로 대발생하여 잎을 모조리 먹어 치우는 경우도 종종 있다.• 피해를 받아도 나무가 고사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 곧 새잎이 돋아난다. ✓ 형태•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30~35mm이고 날개는 백색에서 엷은 황색으로 반투명하여 시맥의 뚜렷하게 보인다.• 뒷날개의 제4맥과 제7 맥 사이는 꼬리모양으로 돌기 되어 있다.• 유충의 몸길이는 약 30mm 내외이며 담황색으로 몸 전면에 가는 털이 나있다. • 앞가슴은 흰색으로 등에 2개의 검은 점이 있다..

수목병해충 2024.11.22

수목병해충 - 노랑쐐기나방, 장수쐐기나방, 흑색무늬쐐기나방, 벚나무알락나방

노랑쐐기나방(Monema flavescens)✓ 피해• 유충은 잡식성으로 여러 수종의 잎을 식해하며 체표면에 자모가 있어 피부에 접촉하면 통증과 염증이 발생한다.• 어린 유충은 잎 뒤에서 잎살만 먹지만 자란 후에는 잎의 주맥만을 남기고 식해한다.• 벚나무가 피해를 받아 잎을 모조리 먹어도 다시 잎이 돋아난다. ✓ 형태•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수컷이 12~13mm, 암컷이 14~15mm이며, 전체적으로 황색이다.• 더듬이는 실 모양을 띠며 약간 편평하고 황갈색을 띤다.• 앞날개 바깥 부분은 적갈색이고, 외연에 2개의 흑갈색 사선이 있다. • 노숙유충의 몸길이는 25mm 정도이고, 머리는 담갈색이고, 몸의 앞뒤 부분에 암자색의 무늬가 있다.• 중앙 부위와 옆은 녹색이며 몸 표면에 자모가 있다. • 고치는 타..

수목병해충 2024.10.27

수목병해충 - 왕뿔무늬저녁나방, 이른봄밤나방, 한일무늬밤나방, 천막벌레나방, 배붉은흰불나방

왕뿔무늬저녁나방(Acronicta major)✓ 피해• 유충은 잎을 가해하나 큰 피해를 주지는 않는다. • 잎의 끝부터 게걸스럽게 먹어치운다. ✓ 형태• 성충의 앞날개는 길이가 24~29mm로서 암회색이며 검은줄 무늬가 있고 뒷날개는 암황갈색이다.• 유충의 몸길이는 50mm정도로서 머리는 검은색이며 몸에 백색의 긴털이 밀생되어 있다.• 배의5개마디등부위에는검은색의짧은털이밀생되어있다. ✓ 생태• 연 2회 발생한다. 유충은 6~7월, 8월 하순~9월에 출현한다. • 노숙한 유충은 나무껍질을 철하여 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된다. • 성충은 보통 6~7월에 많이 채집된다.• 자세한 생태는 밝혀져 있지 않다. ✓ 방제• 약제방제- 유충발생기 초기에 등록된 약제를 살포한다.•친환경방제- 알을 포식하는 무당벌레류, 풀..

수목병해충 2024.10.27

수목병해충 - 뱀눈박각시, 분홍등줄박각시, 배저녁나방, 사과저녁나방, 오얏나무밤나방

뱀눈박각시(Smerinthus planus Walker)✓ 피해• 유충이 잎을 게걸스럽게 식해한다.• 벚나무에서는 가끔 발생하나, 발생하면 잎을 모조리 먹는다. • 피해받은나무는곧바로잎이새로돋아나피해는크지않다. ✓ 형태• 암컷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45mm, 수컷은 40mm정도이며 뒷날개에 눈모양의 무늬가 있다.• 유충은 체절마다 대각선으로 노란 줄이 선명하다.• 노숙유충의 몸길이는 70~80mm이고 전체적으로 녹색이며 기문은 회백색이나 주변은 검은 띠가 싸고 있다.  ✓ 생태• 연 2회 발생하며 땅속에서 번데기로 월동한다.• 성충은 5~6월과 8~9월에 우화한다.• 유충은 6~7월과 9~10월에 나타난다. ✓ 방제• 약제방제- 6월과 9월 유충발생기에 등록된 약제를 살포한다. • 친환경방제- 기생벌류, ..

수목병해충 2024.10.27

수목병해충 - 사과독나방, 차독나방, 콩독나방, 흰독나방

사과독나방(Callitera pseudabietis)✓ 피해• 유충이 잎을 식해하며 해에 따라 발생량의 차이가 많다. • 벚나무에서는 5∼6월에 가끔 피해가 있으나 심하지는 않다. • 유충의 각모나 성충의 인편이 사람의 피부에 닿으면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도 있다. ✓ 형태•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암컷이 30mm내외, 수컷이 20mm내외이다.• 암컷의 앞날개는 회색바탕에 검은 인편이 산재해 있으며 뒷날개는 백색으로 검은 무늬가 있는 개체도 있다.• 유충의 몸길이는 35mm정도로 녹색을 띤 황색이고, 긴 털이 나 있으며 제 1~4복절의 등에는 황색의 털 무더기가, 제 8복절의 등에는 붉은색의 긴 털무더기가 있다. ✓ 생태• 연 2회 발생하며 번데기로 월동한다.• 성충은 4~5월과 7~8월에 나타나며 유충은 ..

카테고리 없음 2024.10.27

수목병해충 - 매미나방, 붉은매미나방, 독나방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피해• 토착해충으로 수목(산림)·과수 등 대부분의 활엽수에 피해를 주며 벚나무에서 때때로 대발생한다.• 유충이 대부분의 활엽수와 일부 침엽수의 잎을 식해하며 유충 1마리가 1세대동안 수컷이 700~1100cm², 암컷이 1100~1800cm²의 참나무 잎을 먹는다.• 북미에서는 산림과 과수에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해충의 하나임에도 우리나라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지역에 따라 국지적으로 대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 형태• 성충은 암수 크기와 체색이 다르다.• 수컷의 몸길이는 17~21mm이고, 날개를 편 길이는 41~54mm이다. • 더듬이는 닭털 모양으로 생겼으며 몸과 날개는 암갈색이고, 날개위에 구부러진 검은 무늬가 있다.• 암컷의 몸길이는 20~40..

수목병해충 2024.10.27

수목병해충 - 왕바구미, 북방수염하늘소, 솔수염하늘소

왕바구미(Sipalinus gigas gigas)✓ 피해• 바구미중가장큰종류로서크기에많은변이가있다.• 수세 쇠약목, 벌채된 원목에 피해가 많으며 유충이 목질부를 파먹어 들어가 목재의 질을 저하시킨다.• 외부로 톱밥 같은 것을 배출하므로 피해 식별이 쉽다.• 소나무류에서 주로 나무줄기의 하단 부위에 피해가 많다.• 소나무류에서 성충 우화 탈출구멍이 하늘소의 탈출구멍과 크기와 형태가 유사하다.• 소나무류 뿐만 아니라 편백, 삼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종비나무, 밤나무, 참나무류, 버드나무류 등에도 피해를 준다. ✓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13mm 내외이다.• 체색은 검은색으로 회갈색의 가루 같은 것으로 덮여 있다. ✓ 생태• 연 1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성충은 4~5월경에 출현하여 쇠약목, 원..

수목병해충 2024.10.21

수목병해충 - 이깔여덟이발나무좀, 노랑무늬솔바구미/노랑소나무점바구미, 노랑점바구미

이깔여덟이발나무좀(Ips subelongatus)✓ 피해•소나무류와 가문비나무류에서 피해가 보고되고 있다.※ 소나무림이나 울창한 침엽수림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나, 잎갈나무류 숲에서 대부분의 침엽수 수종을 공격한다.•2010년 강원도 인제에서 발생이 확인되었다.•산란을 시도한 장소로부터 수지가 흘러나온다. •공격받은 나무의 잎들은 황화와 시들음 현상을 보인다.※ 생활주변 소나무류와 가문비나무류에서는 피해 발견의 사례가 없다. ✓ 형태• 성충은 기다란 모양으로 4,5~6mm이며, 몸은 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두껍고 긴 황회색 털로 덮여있다. • 이마는 작은 과립으로 정수리에서는 점으로 덮여있다.• 앞가슴과 앞날개의 크기가 비슷하다. 앞날개는 폭보다 1/5배 더 길다.• 앞날개의 전반부는 작은 이로, 후반부는 작..

수목병해충 2024.10.21

수목병해충 - 복숭아명나방, 가문비왕나무좀, 노랑애나무좀, 소나무좀

복숭아명나방(Conogethes punctiferalis)✓ 피해• 소나무류 중 잣나무 구과에 특히 피해가 많다.• 과수에서는 밤나무와 그 외 대부분의 과실에 피해를 주며, 특히 밤에 피해가 심하다.• 밤을 수확하였을 때, 외관상 벌레구멍이 있는 것은 대부분 이 해충의 피해이다.• 주로 조생종 밤 품종에서 피해가 심하나 근래에는 만생종에서도 3화기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 형태• 성충은 날개 편 길이가 25mm 내외로 등갈색을 띤 황색이다.• 전신에 흩어진 20여개의 검은 점이 선명하고, 아랫입술수염의 가운 데마디 윗가장자리, 때로는 아랫가장자리에도 가늘게 검은색으로 테두리져 있다.• 알은 장경 0.6mm 내외로 타원형이고, 유백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한다.• 유충은 몸길이가 20~25mm에 달하며, 머리..

수목병해충 2024.10.21

수목병해충 - 솔박각시, 백송애기잎말이나방, 솔애기잎말이나방, 소나무순나방

솔박각시(Hyloicus morio Rothschild)✓ 피해• 유충이 침엽을 식해한다.• 유충이 모여 살면서 가해하지 않기 때문에 수목이 고사하거나 생장에 큰 저해를 줄 정도의 피해를 주지는 않는다. ✓ 형태• 성충의 날개를 편 길이는 60~80mm이고 앞날개는 암회색이며 연한 갈색의 짧은 줄이 여러 개 있다. • 뒷날개는 연한갈색이고 배의 등면에 다갈색의 종선이 있다.• 유충의 몸길이는 약 65mm정도이고 몸은 전체적으로 녹색을 띠며 등과 옆면에는 백색과 갈색의 뚜렷한 줄이 있다.※ 소나무밤나비(Panolis flammea) 유충은 등면에 갈색의 줄이 없고 백색의 줄만 있다. 솔박가시는 배 끝 부근에 갈고리 형태의 돌기가 있으나 소나무밤나방은 없다.• 머리는 흑갈색이고 2개의 검은 줄이 있고 기문하..

수목병해충 202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