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미나방(Lymantria dispar)
✓ 피해
• 토착해충으로 수목(산림)·과수 등 대부분의 활엽수에 피해를 주며 벚나무에서 때때로 대발생한다.
• 유충이 대부분의 활엽수와 일부 침엽수의 잎을 식해하며 유충 1마리가 1세대동안 수컷이 700~1100cm², 암컷이 1100~1800cm²의 참나무 잎을 먹는다.
• 북미에서는 산림과 과수에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해충의 하나임에도 우리나라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지역에 따라 국지적으로 대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 형태
• 성충은 암수 크기와 체색이 다르다.
• 수컷의 몸길이는 17~21mm이고, 날개를 편 길이는 41~54mm이다.
• 더듬이는 닭털 모양으로 생겼으며 몸과 날개는 암갈색이고, 날개위에 구부러진 검은 무늬가 있다.
• 암컷의 몸길이는 20~40mm이고 날개를 편 길이는 78~93mm정도이며 날개와 몸은 갈색을 띤 백색이고 더듬이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 다리에는 검은색의 횡대(橫帶)가 4개 있다.
• 알은 둥근형으로 1.7mm정도이고, 암컷의 노란 털로 덮여 있다.
• 다 자란 유충의 몸길이는 55mm 정도이고, 머리는 황색이며 앞쪽에 팔자형의 검은 무늬가 있다.
• 등위 앞쪽의 돌기는 암청색이고, 뒤쪽의 돌기는 암적색인데 각 돌기에는 검은긴털이많이나있다.
✓ 생태
• 연 1회 발생하며 알로 나무줄기에서 월동한다.
• 난기간은 약 9개월이고 4월 중순경 부화한 유충은 4~5일간 난괴주위에 있다가 거미줄에 매달려 바람에 날려 분산한다.
• 유충기간은 45~66일로 기주식물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6월 중순~7월 상순에 수관에서 나무 잎을 말고 번데기가 된다.
• 번데기기간은 15일 내외이며 7월 상순~8월 상순에 우화한다.
• 성충의 수명은 7~8일이며 나무줄기에서 약 8시간 동안 교미한 후 암컷은 10시간 이내에 줄기 또는 가지에 무더기로 산란한다.
• 암컷은 몸이 무거워 멀리 날지 못하나 수컷은 활발하게 날며 밤낮으로 활발히 암컷을 찾아다니므로 집시나방이라고도 한다.
• 산란은 지상 1~6m높이의 수간에 80%내외를 하며 난괴당 알 수는 평균 500개이고 성충의 체모로 덮여 있다.
✓ 방제
• 약제방제
- 어린 유충기인 4월 하순~5월 상순사이에 등록된 약제를 처리한다.
• 친환경방제
- 포식성 천적인 풀색딱정벌레, 검정명주딱정벌레, 청노린재 등을 보호한다.
- 기생성 천적인 무늬수중다리좀벌, 긴등기생파리, 나방살이납작맵시벌, 송충알벌, 나방살이납작맵시벌, 독나방살이고치벌, 짚시벼룩좀벌, 황다리납작맵시벌, 송충잡이자루맵시벌, 포라맵시벌, 흰발목벼룩좀벌, 오렌지다리납작맵시벌, 검정다리꼬리납작맵시벌 등을 보호한다.
- 성충시기인 7월에 유아등이나 유살등을 이용하여 포획한다.
- 4월 이전에 줄기에 산란된 난괴를 채취하여 소각하거나 땅에 묻는다.
- 성페로몬 트랩을 설치하면 발생예찰과 약간의 밀도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붉은매미나방(Lymantria mathura aurora)
✓ 피해
•주로 밤나무에서 대발생하여 잎을 모조리 먹어 치우지만 가끔 벚나무에서도 피해를 준다.
•피해를 받은 나무는 고사하지 않고 다시 새순이 돋아난다.
•피해를 받은 1992년 경기도 하남시, 남양주시 1998년 함양군 수동면, 2007년 인천 계양구의 밤나무림과 참나무림에 돌발적으로 대발생한 기록이 있다.
✓ 형태
• 암컷성충의 앞날개 길이가 37~46mm이다.
• 앞날개는 흰색이며 거치상의 검은 무늬가 있고 기부는 붉은색이다.
• 뒷날개는 붉은색으로 외연부에 흑갈색 띠가 있다.
• 수컷은 앞날개 길이가 22~27mm로 흰무늬가 있고 뒷날개는 등황색으로 외연부에 두 줄의 흑갈색 무늬가 있다.
• 노숙유충은 몸길이가 40~60mm로서 머리는 다갈색이고 몸은 흑갈색 바탕에 흰점들이 산재해 있으며 긴 털이 많이 나있다.
✓ 생태
• 연 1회 발생하며 알로 나무줄기에서 월동한다.
• 알기간은 약 9개월이고 4~5월경 부화한 유충은 바람에 날려 분산된다.
• 7월 하순경까지 잎을 식해하고 성장하여 가지나 잎 사이에 고치를만들고 번데기가 된다.
• 번데기기간은 10일 정도이며 보통 7월 하순~8월 중순에 우화하여 나무줄기에서 교미한 후 수피 틈에 무더기로 산란한다.
• 암컷성충은 낮에 나무줄기에 기어 다니고 수컷은 나무그늘에서 활발히 날아다닌다.
✓ 방제
• 약제방제
- 유충 발생초기인 4월 하순~5월 초순에 등록된 약제를 살포한다.
• 친환경방제
- 기생성 천적인 무늬수중다리좀벌, 긴등기생파리, 나방살이납작맵시벌, 송충알벌, 나방살이납작맵시벌, 독나방살이고치벌, 짚시벼룩좀벌, 황다리납작맵시벌, 송충잡이자루맵시벌, 포라맵시벌, 흰발목벼룩좀벌, 오렌지다리납작맵시벌, 검정다리꼬리납작맵 시벌 등을 보호한다.
- 성충이 불빛에 잘 유인되므로 유아등이나 유살등을 이용하여 포획한다.
- 나무줄기에 산란된 알을 4월 이전에 채취 소각한다.
독나방(Euproctis subflava)
✓ 피해
• 벚나무에서 간혹 피해를 볼 수 있다. 유충이 많은 수종의 잎을 식해하기 때문에봄에눈에쉽게띤다.
• 부화유충은 잎을 망상으로 먹으며, 자라면서 잎 뒷면에 모여 잎 끝부터 식해한다.
• 봄철에 피해가 심하며 특히 참나무류의 새싹을 식해 한다.
• 1936년에 황해도에서, 1957년에 강원도에서, 1958~59년에는 전국적으로 대발생한 기록이 있다.
• 유충의 몸에는 독침모(毒針毛)가 있어 인체 피부에 닿으면 심한 염증을 유발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 형태
• 성충의 몸길이는 암컷이 15~17mm, 수컷이 13~15mm이며 날개를 편 길이는 30~44mm이다.
• 몸과 날개가 황색이며 앞날개 중앙부에 자색의 띠가 있다.
• 알은 암갈색이고 암컷의 체모로 덮여 있으며 노숙유충의 몸길이는 35mm 정도이다.
• 체색은 흑갈색이고 몸에는 많은 육질돌기(肉質突起)가 있고 긴털에 많이 나 있으며 제1~4배마디 등면에 털 무더기가 있다.
✓ 생태
• 연 1회 발생하고 10령 내외의 유충으로 기주의 뿌리근처 잡초, 낙엽사이에 천막을 만들고 그 속에서 월동한다.
• 4월초부터 월동처에서 나와 낮에는 잎 뒷면에 있다가 주로 밤에 식해한다.
• 13∼17령으로 다자란 다음 집단에서 분산하여 생활하고 피해는 5∼6월에 심하다.
• 유충기간은 320일 내외이며 노숙유충은 5월 하순부터 잎 뒷면에 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된다.
• 전용(前蛹)기 3~6일, 번데기기간 20일 내외를 거쳐, 6월 하순~8월 상순(최성기 7월 상순)에 우화한다.
• 우화는 13~16시에 많이 하며 암컷보다 수컷이 빨리한다.
• 성충의 수명은 암컷이 6~12일, 수컷이 4~11일이며 지면 가까운 잎 뒷면이나 줄기에 무더기로 밤에 산란한다.
• 난괴는 성충의 인분(鱗粉)과 독침모로 덮여있고 난괴당 알 수는 450~1,000개이며 알기간은 16~20일이다.
✓ 방제
• 약제방제
- 유충발생기에 등록된 약제를 살포한다.
• 친환경방제
- 조류가 유충을 많이 잡아먹으므로 보호한다.
- 각종 기생성천적인 알좀벌, 맵시벌, 좀벌 등을 보호한다.
- 성충이 불빛에 잘 유인되므로 6~7월에 유아등이나 유살등을 이용하여 포획한다.
- 모여살고 있는 유충을 채취하여 소각한다.
'수목병해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목병해충 - 왕뿔무늬저녁나방, 이른봄밤나방, 한일무늬밤나방, 천막벌레나방, 배붉은흰불나방 (0) | 2024.10.27 |
---|---|
수목병해충 - 뱀눈박각시, 분홍등줄박각시, 배저녁나방, 사과저녁나방, 오얏나무밤나방 (0) | 2024.10.27 |
수목병해충 - 왕바구미, 북방수염하늘소, 솔수염하늘소 (0) | 2024.10.21 |
수목병해충 - 이깔여덟이발나무좀, 노랑무늬솔바구미/노랑소나무점바구미, 노랑점바구미 (0) | 2024.10.21 |
수목병해충 - 복숭아명나방, 가문비왕나무좀, 노랑애나무좀, 소나무좀 (0)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