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코드 끝 ---> 수목병해충 - 미국흰불나방

수목병해충

수목병해충 - 미국흰불나방

bonniecute 2024. 9. 11. 23:22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 자주 발생하는 나무

감나무, 버즘나무, 벚나무, 단풍나무, 대추나무, 포플러 등 활엽수

 

✓ 피해

• 북미 원산으로 아시아지역에 침입한 시기는 1948년 일본, 1958년 한국, 1979년 중국의 순으로 발생하여 만연되었다.

• 유충 1마리가 100~150cm²의 잎을 섭식하며 1화기보다 2화기의 피해가 심하다.
• 산림 내에서 피해는 거의 없고, 생활권 주변의 가로수, 조경수, 정원수인 벚나무와 버짐나무에 피해를 많이 준다.
• 특히 10월 초·중순에 생활권 주변에서 3화기가 대발생하여 피해를 주지만 먹이가 부족하고 날씨가 추워서 대부분
번데기가 되지 못하고 폐사한다.

 

✓ 형태

• 성충 몸길이는 암컷이 12~14mm, 수컷이 9~10mm이며, 날개를 편 길이는 앞컷이 36~37mm, 수컷이 28~30mm정도 이다.

• 월동 번데기에서 우화한 1화기 성충의 날개는 백색 바탕에 검은 점이 있으나, 2, 3화기 성충은 순백색이다.

• 더듬이는 암수 모두 톱니모양이지만 수컷은 깃털 모양이다.

알의 직경은 0.5mm정도이고, 구형이며 담녹색을 띠나 부화할 때가 되면 회흑색으로 변한다.

• 알 덩어리는 흰 자모로 덮여있다.

유충은 몸의 빛깔에 변화가 많다. (머리와 앞가슴의 등면: 흑갈색, 배의 등면~옆면: 담황색,  머리와 몸마디의 등면~배면: 검은색, 옆면: 암황색)

노숙유충은 몸길이가 30mm정도이고, 몸의 각 절에 작은 혹이 있고, 검은색과 백색의 긴털이 빽빽이 나있다.


노숙 유충(잎맥 갉아먹는 사진)


산란중인 암컷 성충

 

✓ 생태

1년에 보통 2~3회 발생하며 수피사이나 지피물밑 등에서 고치를 짓고 그 속에서 번데기로 월동한다.

• 1화기 성충은 5월 중순~6월 상순에 우화하며 수명은 4~5일이다.

• 우화시각은 오후 6~7시가 보통이며 주로 밤에 활동하고 빛을 좋아한다.

• 암컷의 포란수는 유충때의 먹이식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600~700개의 알을 잎 뒷면에 무더기로 낳는다.

5월 하순부터 부화한 유충은 4령기까지 실을 토하여 잎을 싸고 그 속에서 군서생활을 하면서 엽육 만을 식해하고

   5령기부터 흩어져서 엽맥 만 남기고 7월 중·하순까지 가해한다.

유충기간은 40일내외이며 노숙유충은 수피 틈 등에서 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되며 번데기기간은 12일정도이다.

2화기 성충7월 하순부터 8월 중순에 우화한다.

8월 상순부터 유충이 부화하기 시작하여 10월 상순까지 가해한 후 번데기가 되어 월동에 들어간다.

• 지역에 따라 국소적으로 9월 하순경에 3화기 성충이 출현하여 산란한 알들이 부화하여 10월 중순까지 가해하는 경우가 있다.

2화기 유충기간은 50일내외이며 번데기기간은 약 200일이다.

 

✓ 방제

• 약제방제

- 유충 발생기에 루벤디아마이드 액상수화제를 10,000배로 희석하여 나무가 흠뻑 젖도록 살포한다.

 

• 친환경방제

- 포식성 천적인 꽃노린재, 검정명주딱정벌레, 흑선두리먼지벌레, 납작선두리먼지벌레기생성 천적인 무늬수중다리좀벌, 긴등기생파리, 나방살이납작맵시벌, 송충알벌 등을 보호한다.

- 나무껍질사이, 판자틈, 지피물밑, 잡초의 뿌리근처, 나무의 공동에서 고치를 짓고 그속에 들어 있는 번데기를 연중 채취한다.

- 특히 10월 중순부터 11월 하순까지, 익년 3월 상순부터 4월 하순까지 월동하고 있는 번데기를 채취하면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 5월 상순~8월 중순 알덩이가 붙어있는 잎을 따서 소각하거나 5월 하순~10월 상순까지 잎을 가해하고 있는 군서 유충을 포살한다.

- 5월 중순부터 9월 중순의 성충활동시기에 피해임지 또는 그 주변에 유아등이나 흡입포충기를 설치하여 성충을 유살한다.